커피 이야기

2020 KBrC 두번째 이야기, 오픈서비스

Jeff, Coffee Me Up 2019. 10. 13. 22:00


대회 이야기 두번째, 오픈서비스 시연편

모든 선수나 관계자분들은 오늘 하루 피곤한 몸과 마음을 정리하고 지냈겠네요. 그도 그럴것이 짧게는 한 달, 길게는 거의 일 년을 딱 한 번(많게는 세 번!)을 위해 준비해왔으니 그 피로도는 상상만으로도 힘드네요.

그러면 시연은 어떻게 준비를 해야할까요.
시연은 오픈서비스와 의무서비스로 나뉘어 지는데 선수가 프리젠테이션을 준비해야하는 오픈서비스는 부담이 큽니다.

팀에 따라 다르겠지만 먼저 코치는 담당 선수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선수의 강점을 살린 컨셉을 정합니다. 물론 여기에는 사용할 커피와의 조합이나 시연의 난이도를 함께 봐야지요.

무조건 고난도의 시연을 고르거나 선수나 콩의 특성에 어울리지 않는 컨셉을 잡으면 아무리 연습을 많이해도 몸에 맞지않는 옷처럼 완벽한 무대가 되기 어렵기 때문에 선수를 잘 파악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냉정하게 이 선수가 올해 결선을 가볼만한 실력인지 일단 경험을 쌓는데 주력하는 것이 좋을지 차분히 봐야합니다. 물론 모든 선수는 우승을 꿈꾸며 출전할 것이라 생각하겠지만 코치는 더욱 차가워야합니다.

그것이 결정되면 본격적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합니다.
가끔 저 처럼 책을 집필해본 경험이 있거나 (흐흐) 전문 작가에게 맡기면 아주 좋지않을까 생각하겠지만 그렇지는 않습니다.
물론 문장/단어 처리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사실 그것보다는 대회를 많이 보고 커피업계의 트랜드를 파악하며 그 선수에게 익숙한 스타일의 시나리오가 필요하기 때문에 변수가 많습니다.

그렇게 결정이 되면 시연에서 소구할 하나의 메인 컨셉을 놓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몇개의 서브 타이틀을 두는 식이면 보는이들을 설득하기에 좋습니다.

이렇게 결정된 시나리오를 선수와 시연을 해보며 교정작업을 하고 최종적으로는 암기에 들어갑니다. 암기가 쉬워보이지만 글자 하나하나가 중요하고 막상 실전에서는 그 말이 안나오기 때문에 거의 기계적으로 외워야합니다.

또한 시연 난이도도 중요한데 사실 이번에 제가 담당했던 선수들의 난이도는 높지 않았습니다. 즉 냉정하게 보면 이 난이도로는 결코 우승을 할 수 없는 수준이라는겁니다.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피겨스케이팅에서 아사다마오(!)가 트리플 악셀을 뛰다가 실패해도 꽤나 높은 점수를 받지만 중하위권의 선수는 우리가 보기에는 완벽하게 클린 연기를 펼쳐도 그 점수를 전혀 따라가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죠.

그런 의미에서 이번에 우리 선수들은 제가 설정한 난이도에는 거의 근접했으니 1차 목표는 도달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고난도로 접근하지 않은 이유는 몇가지가 있는데 대회가 센서리랩 이전시가와 딱 맞물려서 대회 출전을 계속 고민했었고, 갑자기 결정된 출전이라 모험보다는 안정을 택한 전략때문입니다.

내년에는 혹시라도 만약 제가 누군가를 또 맡게 되면 어제 올린 글처럼 '월드 챔피언'클래스로 해보고 싶은데요.
그러면 저도 힘들고 선수도 힘들거라 해야할 지는 좀 더 고민해보겠습니다.
으음. 생각만 해도 피곤해서 안하는 게 좋을 것 같기도 ㅠ
그럼 다음에는 의무서비스를 이야기 해 봐야겠네요.